굴뚝 벽돌에 하얀 가루가 생겼다면?

Screenshot 2025-07-05 at 3.34.51 PM

단순한 얼룩이 아닌, 우리 집을 갉아먹는 습기의 신호일 있습니다

벽돌 굴뚝을 유심히 보신 적 있으신가요?
어느 날 보니 벽돌 사이사이로 하얀 가루나 소금기처럼 보이는 얼룩이 번지고 있다면…
그건 먼지도, 곰팡이도 아닌, ‘백화현상(Efflorescence)입니다.

백화현상, 대체 뭐길래?

백화현상은 벽돌이나 모르타르 내부를 통과한 수분이, 그 안에 있던 광물질을 바깥으로 운반하고
공기와 만나 하얀 결정체로 남는 현상입니다.
그 자체로는 인체에 해롭지 않으며, 소량이라면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굴뚝에 백화현상이 심하게 생겼다면,
이건 단순한 미관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 내부에 수분이 비정상적으로 많다는 경고일 수 있습니다.

백화현상이 심각하다는 뜻은?

  • 굴뚝 내부에 수분이 스며들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비가 새거나, 환기가 부족하거나, 외벽 방수가 약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겨울철엔 수분이 얼어, 벽돌 안에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굴뚝 구조 자체를 안에서부터 무너뜨릴 수도 있습니다.
  • 무엇보다 더 무서운 건,
    굴뚝 내부의 연통(Flue liner)이 깨졌거나 금이 갔을 수도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럴 경우, 난로나 온수기에서 나오는 일산화탄소 같은 유독가스가 집안으로 새어 나올 있습니다.

어떻게 확인하고 조치할 있을까요?

  1. 하얀 얼룩이 반복해서 생기거나 넓게 퍼질 경우,
    → 전문 굴뚝 검사 기술자(Chimney Inspector)의 점검을 받으세요.
  2. 외부 방수 상태 확인:
    굴뚝 상단의 ‘크라운’이 깨져 있거나, 외벽 방수 페인트가 벗겨졌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통기 문제 점검:
    내부 수증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습기가 내부에 고일 수도 있습니다.
    적절한 배출구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4. 플루라이너(연통 내벽재) 점검:
    → 금이 간 경우, 스테인리스 라이너로 보수하거나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알아두세요!

백화현상 자체는 청소로 지울 있습니다.
하지만  원인을 그대로 두면,
지금은 하얀 가루지만,
내일은 무너진 굴뚝과 일산화탄소 경보음이 수도 있습니다.

굴뚝은 매일같이 우리 가족의 따뜻함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그 벽돌 틈새가 보내는 작은 하얀 신호를,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